반응형
이진탐색
리스트 내에서 탐색 범위를 반으로 좁혀가며 데이터를 빠르게 탐색하는 알고리즘
순차 탐색
리스트 안에 있는 특정한 데이터를 찾기 위해 앞에서부터 데이터를 하나씩 차례대로 확인하는 방법 (일반적인 탐색)
# 순차탐색 코드 구현
def sequential_search(n, target, array):
# 각 원소를 하나씩 확인하며
for i in range(n):
# 현재의 원소가 찾고자하는 원소와 동일한 경우
if array[i] == target:
return i + 1 # 현재의 위치 반환 (인덱스 0 부터 시작하므로 1 더하기)
print('생성할 원소 개수를 입력한 다음 한 칸 띄고 찾을 문자열 입력')
input_data = input().split()
n = int(input_data[0]) # 원소의 개수
target = input_data[1] # 찾고자하는 문자열
print('앞서 적은 원소 개수만큼 문자열을 입력하세요. 구분은 띄어쓰기 한 칸으로 합니다..')
array = input().split()
# 순차 탐색 수행 결과 출력
print(sequential_search(n, target, array))
# 생성할 원소 개수를 입력한 다음 한 칸 띄고 찾을 문자열 입력
# > 5 Donbin
# 앞서 적은 원소 개수만큼 문자열을 입력하세요. 구분은 띄어쓰기 한 칸으로 합니다..
# > Hanul Jonggu Donbin Taeil Sanwook
# 3
- 시간 복잡도 : 최악의 경우
O(N)
- 연산 횟수 : 앞에있는 원소부터 하나씩 확인해야하므로 최대 N 번의 비교연산이 필요함
이진탐색 : 반으로 쪼개면서 탐색하기
배열 내부의 데이터가 정렬되어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 (데이터가 무작위일때는 사용 불가)
탐색 범위를 절반씩 좁혀가며 데이터를 탐색
이진 탐색은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 3개 (탐색하고자 하는 범위의 시작점, 끝점, 중간점) 를 사용한다.
찾으려는 데이터와 중간점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비교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게 이진 탐색 과정이다.
이진탐색을 구현하는 방법에는 재귀를 이용하는 방법 과, 반복문을 이용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다.
# 재귀함수
def binary_search(array, target, start, end):
if (start > end): return None # 원소가 없는 경우
mid = (start + end) // 2 # 중간점 설정
# 찾은 경우 중간점 인덱스 반환
if (array[mid] == target): return mid
# 중간점의 값 > 찾는 값 ? 왼쪽 확인
elif (array[mid] > target):
return binary_search(array, target, start, mid - 1)
# 중간점의 값 < 찾는 값 ? 오른쪽 확인
else:
return binary_search(array, target, mid + 1, end)
# n(원소의 개수)과 target(찾고자 하는 문자열) 입력받기
n, target = list(map(int, input().split()))
# 전체 원소 입력받기
array = list(map(int, input().split()))
# 이진 탐색 수행 결과 출력
result = binary_search(array, target, 0, n - 1)
if result == None:
print('원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else:
print(result + 1)
// 재귀 호출
function binary_search (array, target, start, end) {
if (start > end) return null
const mid = parseInt((start + end) / 2)
// 찾은 경우 중간점 인덱스 반환
if (array[mid] === target) return mid
// 중간점의 값 > 찾는 값 ? 왼쪽 확인
else if (array[mid] > target) return binary_search(array, target, start, mid - 1)
// 중간점의 값 < 찾는 값 ? 오른쪽 확인
else return binary_search(array, target, mid + 1, end)
}
const array = [1, 3, 5, 7, 9, 11, 13, 17, 19]
const n = array.length
const target = 7
const result = binary_search(array, target, 0, n - 1)
console.log(result) // 3
# 반복문
def binary_search(array, target, start, end):
while (start <= end):
mid = (start + end) // 2
# 찾은 경우 중간점 인덱스 반환
if (array[mid] == target): return mid
# 중간점의 값 > 찾는 값 ? 왼쪽 확인
elif (array[mid] > target):
end = mid - 1
# 중간점의 값 < 찾는 값 ? 오른쪽 확인
else:
start = mid + 1
return None
# n(원소의 개수)과 target(찾고자 하는 문자열) 입력받기
n, target = list(map(int, input().split()))
# 전체 원소 입력받기
array = list(map(int, input().split()))
# 이진 탐색 수행 결과 출력
result = binary_search(array, target, 0, n - 1)
if result == None:
print('원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else:
print(result + 1)
// 반복문
function binary_search (array, target, start, end) {
while (start <= end) {
const mid = parseInt((start + end) / 2)
console.log(mid)
// 찾은 경우 중간점 인덱스 반환
if (array[mid] === target) return mid
// 중간점의 값 > 찾는 값 ? 왼쪽 확인
else if (array[mid] > target) end = mid - 1
// 중간점의 값 < 찾는 값 ? 오른쪽 확인
else start = mid + 1
}
return null
}
const array = [1, 3, 5, 7, 9, 11, 13, 17, 19]
const n = array.length
const target = 7
const result = binary_search(array, target, 0, n - 1)
console.log(result) // 3
- 시간 복잡도 : $O(log N)$
- 효율성 : 탐색으 의 한 단계를 거칠 때 마다 원소가 평균적으로 절반으로 줄어든다.
코드가 짧으니 이진 탐색은 여러 차례 코드를 입력하며 자연스럽게 외워보자. 이진 탐색은 코딩테스트에서 단골로 나오는 문제이니 가급적 외우길 권장한다.
트리 자료구조
트리 자료구조는 노드와 노드의 연결로 표현 한다. (노드: 정보의 단위로서 어떠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개체)
그래프 자료구조의 일종으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나 파일 시스템 과 같은 곳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 트리는 _부모 노드 Parent Node_와 _자식 노드 Child Node_의 관계로 표현한다.
- 트리의 최상단 노드를 루트 노드 Root Node 라고 한다.
- 트리의 최하단 노드를 단말 노드 Leaf Node 라고 한다.
- 트리에서 일부를 떼어네도 트리구조이며 이를 서브 트리 라고 한다.
- 트리는 파일 시스템과 같이 계층적이고 정렬된 데이터를 다루기에 적합하다.
이진 탐색 트리
트리 자료구조중 가장 간단한 형태
이진 탐색 트리란 이진 탐색이 동작할 수 있도록 고안된, 효율적인 탐색이 가능한 자료구조이다.
- 부모노드보다 왼쪽 자식 노드가 작다
- 부모노드보다 오른쪽 자식 노드가 크다
- 왼쪽 자식 노드 < 부모 노드 < 오른쪽 자식 노드
반응형
'BACKEND > 코딩테스트 및 solu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109 최단 경로 알고리즘 개념 (0) | 2022.01.16 |
---|---|
211227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0) | 2022.01.16 |
211208 정렬 개념 (0) | 2022.01.16 |
211126 탐색, 자료구조 개념 (0) | 2022.01.16 |
211110 구현 개념 (0) | 2022.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