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
그래프를 탐색하기 위한 대표적인 두 가지 알고리즘
노드(Node)(정점(Vertex) 이라고도 부른다) 와 간선(Edge) 로 이루어진 자료구조
그래프 탐색이란, 하나의 노드를 시작으로 다수의 노드를 방문하는 것을 말한다.
두 노드가 간선으로 연결되어있다면 '두 노드는 인접하다(Adjacent)' 라고 표현한다.
프로그래밍에서 그래프는 크게 2가지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 코딩테스트에서는 두 개념 모두가 필요하다.
- 인접 행렬 (Adjacency Matrix) : 2차원 배열로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
- 인접 리스트 (Adjacency List) : 리스트로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
인접 행렬 (Adjacency Matrix) 방식
2차원 배열에 각 노드가 연결된 형태를 기록하는 방식
# 인접행렬 방식 예시
# 연결되지 않은 노드끼리는 무한(`Infinity`) 의 비용(주로 `999999999`)으로 작성한다.
INF = 999999999 # 무한의 비용 선언
# 2차원 리스트를 이용해 인접행렬 표현
graph = [
[ 0, 7, 5 ],
[ 7, 0, INF ],
[ 5, INF, 0 ]
]
print(graph)
# [ 0, 7, 5 ], [ 7, 0, 999999999 ], [ 5, 999999999, 0 ]
인접 리스트 (Adjacency List) 방식
모든 노드에 연결된 노드에 대한 정보를 차례대로 연결하여 저장
인접리스트는 '연결리스트' 자료구조를 이용하여 구현하는데, 인접 리스트를 구현할 때에도 단순히 2차원 리스트를 이용하면 된다.
# 행(Row)이 3 개인 2차원 리스트로 인접리스트 표현
graph = [[] for _ in range(3)] # [[], [], []]
# 노드 0 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노드, 거리)
graph[0].append((1, 7))
graph[0].append((2, 5)) # [(1, 7), (2, 5)], [], []]
# 노드 1 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노드, 거리)
graph[1].append((0, 7)) # [[(1, 7), (2, 5)], [(0, 7)], []]
# 노드 2 에 연결된 노드 정보 저장 (노드, 거리)
graph[2].append((0, 5)) # [[(1, 7), (2, 5)], [(0, 7)], [(0, 5)]]
print(graph)
두 방식의 차이점
메모리 측면 | |
---|---|
인접 행렬 방식 | 모든 관계를 저장하므로 노드 개수가 많을수록 메모리가 불필요하게 낭비된다 |
인접 리스트 방식 | 연결된 정보만 저장하기 때문에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하나씩 연결된 노드를 확인해야하므로 두 노드가 연결되어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는 시간이 느리다 |
DFS (깊이 우선 탐색: Depth-First Search)
_그래프_에서 깊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
특정한 경로로 탐색하다가 특정한 상황에서 최대한 깊숙히 들어가서 노드를 방문한 후, 다시 돌아가 경로를 탐색하는 알고리즘
DFS 의 동작 과정
DFS 알고리즘은 스택 자료구조에 기초한다는 점에서 구현이 간단하다.
실제로는 스택을 쓰지 않아도 되며 탐색을 수행함에 있어서 데이터의 개수가 N 개인 경우 O(N)
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특징이 있다.
- 탐색 시작 노드를 스택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를 한다
- 스택의 최상단 노드에 방문하지 않은 인접 노드가 있으면 그 인접 노드를 스택에 넣고 방문 처리를 한다.
방문하지 않은 노드가 없으면 스택에서 최상단 노드를 꺼낸다. - 2 번의 과정을 더이상 수행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한다.
방문처리 :: 스택에 한 번 삽입되어 처리된 노드가 다시 삽입되지 않도록 체크하는 것 의미.
DFS 예제
# DFS 메서드 정의
def dfs(graph, v, visited):
# 현재 노드를 방문 처리
visited[v] = True
print(v, end=' ')
# 현재 노드와 연결된 다른 노드를 재귀적으로 방문
for i in graph[v]:
if not visited[i]:
dfs(graph, i, visited)
# 각 노드가 연결된 정보를 리스트 자료형으로 표현 (2차원 리스트)
graph = [
[],
[2, 3, 8], # node 1 의 연결리스트
[1, 7], # node 2 의 연결리스트
[1, 4, 5], # node 3 의 연결리스트 ...
[3, 5],
[3, 4],
[7],
[2, 6, 8],
[1, 7]
]
# 긱 노드가 방문된 정보를 리스트 자료형으로 표현 (1차원 리스트)
visited = [False] * 9 # [False, False, ..., False]
# 정의된 DFS 함수 호출
dfs(graph, 1, visited) # 1 2 7 6 8 3 4 5
function DFS (graph, v, visited) {
visited[v] = true
console.log(`node ${v} => [${graph[v]}]`)
// 현재 노드와 연결된 다른 노드를 재귀적으로 방문
for (const i of graph[v]) {
if (!visited[i]) DFS(graph, i, visited)
}
}
graph = [
[],
[2, 3, 8], // node 1 의 연결리스트
[1, 7], // node 2 의 연결리스트
[1, 4, 5], // node 3 의 연결리스트 ...
[3, 5],
[3, 4],
[7],
[2, 6, 8],
[1, 7]
]
// 각 노드가 방문된 정보를 리스트 자료형으로 표현 (1 차원 리스트)
const visited = []
while (visited.length < graph.length + 1) visited.push(false)
DFS(graph, 1, visited)
BFS (너비 우선 탐색: Breath First Search)
가까운 노드부터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
DFS 는 최대한 멀리있는 노드를 우선으로 탐색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고 했는데, BFS 는 그 반대다.
BFS 구현에서는 큐 자료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정석이다.
인접한 노드를 반복적으로 큐에 넣도록 알고리즘을 작성하면 자연스럽게 먼저 들어온 것이 먼저 나가게 되어, 가까운 노드부터 탐색을 진행하게된다.
BFS 의 동작 과정
- 탐색 시작 노드를 큐에 삽입하고 방문처리를 한다.
- 큐에서 노드를 꺼내 해당 노드의 인접 노드 중에서 방문하지 않은 노드를 모두 큐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를 한다.
- 2 번의 과정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한다.
BFS 예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BFS 메서드 정의
def bfs(graph, start, visited):
# 큐 (Queue) 구현을 위해 deque 라이브러리 사용
queue = deque([start])
# 현재 노드를 방문처리
visited[start] = True
# 큐가 빌 때까지 반복
while queue:
# 큐에서 하나의 원소를 뽑아 출력
v = queue.popleft()
print(v, end=' ')
# 해당 원소와 연결된, 아직 방문하지 않은 원소들을 큐에 삽입
for i in graph[v]:
if (not visited[i]):
queue.append(i)
visited[i] = True
graph = [
[],
[2, 3, 8], # node 1 의 방문노드
[1, 7], # node 2 의 방문노드
[1, 4, 5], # node 3 의 방문노드...
[3, 5],
[3, 4],
[7],
[2, 8, 6],
[1, 7]
]
# 각 노드가 방문된 정보를 리스트 자료형으로 표현 (1차원 리스트)
visited = [False] * 9
# 정의된 BFS 함수 호출
bfs(graph, 1, visited) # 1 2 3 8 7 4 5 6
class Queue {
constructor() {
this.arr = []
}
enqueue(item) {
this.arr.push(item)
}
dequeue() {
return this.arr.shift()
}
}
function BFS (graph, head, visited) {
const queue = new Queue()
queue.enqueue(head)
visited[head] = true // 방문 처리
while (queue.arr.length) {
const v = queue.dequeue()
console.log(`node ${v} => [${graph[head]}]`)
for (const i of graph[v]) {
if (!visited[i]) {
queue.enqueue(i)
visited[i] = true
}
}
}
console.log(visited)
}
graph = [
[],
[2, 3, 8], // node 1 의 연결리스트
[1, 7], // node 2 의 연결리스트
[1, 4, 5], // node 3 의 연결리스트 ...
[3, 5],
[3, 4],
[7],
[2, 6, 8],
[1, 7]
]
// 각 노드가 방문된 정보를 리스트 자료형으로 표현 (1 차원 리스트)
const visited = []
while (visited.length < graph.length + 1) visited.push(false)
BFS(graph, 1, visited)
결론
DFS | BFS | |
---|---|---|
동작원리 | 스택 | 큐 |
구현방법 | 재귀 함수 이용 | 큐 자료구조 이용 |
'BACKEND > 코딩테스트 및 solu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1208 정렬 개념 (0) | 2022.01.16 |
---|---|
211126 탐색, 자료구조 개념 (0) | 2022.01.16 |
211110 구현 개념 (0) | 2022.01.16 |
211203 그리디 알고리즘 (0) | 2021.12.03 |
Leetcode solution 해답 시리즈 (0) | 2021.03.15 |
댓글